아기 성장 문의
수원시청
2025.07.21 12:04
- 질환 정보
- 성장
- 환자 정보
-
남자 2022-09-22
안녕하세요 키 성장 관련 문의 드립니다
저희 남편이랑 제가 키가 그렇게 크지 않은 편 입니다
아직은 아기가 어리기도 하고 지금은 잘 먹고 잘 자고 있어 다행이지만
아무래도 ㅠㅠ 저희 키가 작아서 걱정입니다
남자 아이기도 하고 저희보다는 더 컸으면 좋겠지만 키는 유전이라고 ㅠㅠ 들어서..
신경이 쓰이네요..ㅠㅠ 아이들 성장 관련 해서는 언제 부터 챙겨 주면 좋을까요?
성장 치료도 받을 수 있던데 몇살 부터 가능할까요? 키클수 있는 한약도 있던데 그건 언제 부터 복용 해야하나요?
오래 복용 해도 괜찮은지 몇 살부터 성장 관리를 해줘야 좋을지 궁금합니다
저희 남편이랑 제가 키가 그렇게 크지 않은 편 입니다
아직은 아기가 어리기도 하고 지금은 잘 먹고 잘 자고 있어 다행이지만
아무래도 ㅠㅠ 저희 키가 작아서 걱정입니다
남자 아이기도 하고 저희보다는 더 컸으면 좋겠지만 키는 유전이라고 ㅠㅠ 들어서..
신경이 쓰이네요..ㅠㅠ 아이들 성장 관련 해서는 언제 부터 챙겨 주면 좋을까요?
성장 치료도 받을 수 있던데 몇살 부터 가능할까요? 키클수 있는 한약도 있던데 그건 언제 부터 복용 해야하나요?
오래 복용 해도 괜찮은지 몇 살부터 성장 관리를 해줘야 좋을지 궁금합니다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수원시청 함소아 한의원 조혜영 원장입니다.
아이의 키 성장에 대해 문의주셨네요.
부모님의 키가 크지 않은 편이시라 더 마음이 쓰이실 것 같아요.
'키는 유전'이라는 말 때문에 미리 걱정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전적인 요인이 키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유전이 100%는 아니지요.
바꿀 수 없는 것을 걱정하기 보다는 바꿀 수 있는 부분에 집중을 해야합니다.
유전 외에 영양, 수면, 운동, 스트레스 관리, 면역력 및 체력 관리 등 후천적인 노력을 통해 충분히 아이의 키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
너무 염려하지 마시고, 지금부터라도 아이의 성장 관리에 관심을 기울여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는 지금 이순간에도 자라고 있습니다.
그래서 성장관리는 빨리 시작할수록 좋습니다.
다만 나이대별로 신경써야한 부분이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
1차 급성장기인 세돌 정도까지는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는 기본적인 건강관리가 중요합니다.
가장 많이 크는 시기인만큼, 자주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클 수 있도록 돕는 것도 필요하지요.
이후 초등학교에 갈 때까지는 쑥쑥 크는 시기는 아니지만, 추후 성장을 위한 기반이 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들이 편식도 시작하고, 밥보다는 사탕, 젤리 등 간식만 먹으려 하거나, 유치원 생활, 학원 등을 시작하면서 체력적, 정신적으로 힘들어하기도 합니다.
수면이 부족해지기도 하구요.
아이에 따라 현재 성장에 방해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개선해주어 성장의 잠재력을 올려주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초등학교에 들어갈 즈음 부터는 본격적으로 성장에 집중된 관리가 필요합니다.
2차 급성장기를 준비하고 본격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는 성장 자체에 집중한 한약, 성장치료, 생활 습관 교정 등을 해주면 유전적 키보다 더 클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성조숙증 여부도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아야 합니다.
결국 아이가 자라는 모든 과정에서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아이의 현재 성장세, 건강상태, 식욕, 소화 등 전반적인 부분을 살펴보고 그 시기에 맞는 치료와 관리를 해주면서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성장은 장거리 마라톤과 같습니다.
한번 치료한다고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니지요.
지금부터 차근차근 쌓아나갈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한번 진료를 보시고 지금 할 수 있는 부분부터 시작을 해보세요.
아이의 키 성장에 대해 문의주셨네요.
부모님의 키가 크지 않은 편이시라 더 마음이 쓰이실 것 같아요.
'키는 유전'이라는 말 때문에 미리 걱정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전적인 요인이 키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유전이 100%는 아니지요.
바꿀 수 없는 것을 걱정하기 보다는 바꿀 수 있는 부분에 집중을 해야합니다.
유전 외에 영양, 수면, 운동, 스트레스 관리, 면역력 및 체력 관리 등 후천적인 노력을 통해 충분히 아이의 키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
너무 염려하지 마시고, 지금부터라도 아이의 성장 관리에 관심을 기울여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는 지금 이순간에도 자라고 있습니다.
그래서 성장관리는 빨리 시작할수록 좋습니다.
다만 나이대별로 신경써야한 부분이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
1차 급성장기인 세돌 정도까지는 잘 먹고, 잘 자고, 잘 싸는 기본적인 건강관리가 중요합니다.
가장 많이 크는 시기인만큼, 자주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클 수 있도록 돕는 것도 필요하지요.
이후 초등학교에 갈 때까지는 쑥쑥 크는 시기는 아니지만, 추후 성장을 위한 기반이 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아이들이 편식도 시작하고, 밥보다는 사탕, 젤리 등 간식만 먹으려 하거나, 유치원 생활, 학원 등을 시작하면서 체력적, 정신적으로 힘들어하기도 합니다.
수면이 부족해지기도 하구요.
아이에 따라 현재 성장에 방해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개선해주어 성장의 잠재력을 올려주는 접근이 필요합니다.
초등학교에 들어갈 즈음 부터는 본격적으로 성장에 집중된 관리가 필요합니다.
2차 급성장기를 준비하고 본격적인 성장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입니다.
이 시기에는 성장 자체에 집중한 한약, 성장치료, 생활 습관 교정 등을 해주면 유전적 키보다 더 클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성조숙증 여부도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아야 합니다.
결국 아이가 자라는 모든 과정에서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아이의 현재 성장세, 건강상태, 식욕, 소화 등 전반적인 부분을 살펴보고 그 시기에 맞는 치료와 관리를 해주면서 장기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성장은 장거리 마라톤과 같습니다.
한번 치료한다고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아니지요.
지금부터 차근차근 쌓아나갈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한번 진료를 보시고 지금 할 수 있는 부분부터 시작을 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