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월 야제증 상담드립니다.
서대전
2025.06.11 11:49
- 질환 정보
- 야제증/야경증
- 환자 정보
-
여자 2024-06-26
12개월 아이입니다. 100일 이후부터 지금까지 안깬적이 없네요..
매일 밤이 전쟁입니다.. 빌라라 옆집 아랫집에 미안하고 참 힘드네요.. 병원에서는 크면 좋아진다고 하는데 .. 그렇게 1년을 기다려도 차도가 없네요.. 한의원다니면 치료가 될까요?..
매일 밤이 전쟁입니다.. 빌라라 옆집 아랫집에 미안하고 참 힘드네요.. 병원에서는 크면 좋아진다고 하는데 .. 그렇게 1년을 기다려도 차도가 없네요.. 한의원다니면 치료가 될까요?..
답변내용
안녕하세요. 닥톡-네이버 지식IN 상담한의사 유길성입니다.
야제증(夜啼症)은 주로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야간에 이유 없이 자주 깨고 우는 증상을 말합니다. 서양 의학에서는 주로 수면장애, 위장 불편, 발달과정의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지만, 한의학에서는 보다 다양한 체질적, 장부적 원인으로 보고 치료합니다.
한방에서 보는 야제증의 원인한의학에서는 야제증의 원인을 오장육부의 불균형 또는 감기, 중이염, 치아 등으로 설명합니다.
* 한방 야제 원인
1. 심열(心熱)
- 원인: 열이 심장에 쌓여 마음을 불안하게 함.
- 증상: 안절부절, 얼굴이 붉고 열이 많으며, 쉽게 놀라고 자주 깨는 경우.
- 치료법: 심열을 식히는 청심안신(淸心安神)법 사용.
2. 비허(脾虛)
- 원인: 소화기능이 약해 기혈이 부족해짐.
- 증상: 수면 중 쉽게 깨고, 수면이 얕으며, 식욕이 약하고 소화불량이 잦음.
- 치료법: 보기건비(補氣健脾) – 비장을 보하고 기운을 돋우는 처방 사용.
3. 간기울결(肝氣鬱結)
- 원인: 감정의 억압, 스트레스 등으로 간의 기운이 막힘.
- 증상: 예민하고 잘 놀라며, 잠들기 힘들고 자주 깸.
- 치료법: 소간해울(疏肝解鬱) – 간의 기운을 풀고 정서를 안정시킴.
4. 담열내요(痰熱內擾)
- 원인: 담(痰)과 열이 뇌를 자극해 정신이 불안정함.
- 증상: 잠자리에서 갑자기 울며 떼쓰고, 가래가 많거나 변비 동반.
- 치료법: 거담청열(祛痰淸熱) – 담을 제거하고 열을 내리는 처방 사용.
5. 외감풍한(外感風寒)
- 원인: 외부로부터 찬 기운이나 풍(風)이 침입.
- 증상: 감기 초기 증상처럼 코막힘, 기침, 열감이 있고 잠을 잘 못 잠.
- 치료법: 해표산한(解表散寒) – 외부 사기를 제거함.
- 한방 치료 방법
1. 한약 처방체질과 원인에 따라 맞춤 한약을 처방합니다.
2. 침 치료 / 소아침
소아용 무통 작탁침을 이용하여 사봉혈, 이간,사간 등의 경혈을 자극하여 자율신경을 안정시킴.
3. 부항, 뜸
복부 따뜻하게 해주는 온뜸, 경혈부위 소아부항 사용하여 긴장감 완화 심신안정에 도움.
4. 생활 관리
- 일정한 수면 루틴
- 취침 전 소화 잘되는 음식 섭취
- 심리적 안정감 제공 (포옹, 마사지, 자장가 등)
감사합니다.
야제증(夜啼症)은 주로 아이들에게 나타나는 야간에 이유 없이 자주 깨고 우는 증상을 말합니다. 서양 의학에서는 주로 수면장애, 위장 불편, 발달과정의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지만, 한의학에서는 보다 다양한 체질적, 장부적 원인으로 보고 치료합니다.
한방에서 보는 야제증의 원인한의학에서는 야제증의 원인을 오장육부의 불균형 또는 감기, 중이염, 치아 등으로 설명합니다.
* 한방 야제 원인
1. 심열(心熱)
- 원인: 열이 심장에 쌓여 마음을 불안하게 함.
- 증상: 안절부절, 얼굴이 붉고 열이 많으며, 쉽게 놀라고 자주 깨는 경우.
- 치료법: 심열을 식히는 청심안신(淸心安神)법 사용.
2. 비허(脾虛)
- 원인: 소화기능이 약해 기혈이 부족해짐.
- 증상: 수면 중 쉽게 깨고, 수면이 얕으며, 식욕이 약하고 소화불량이 잦음.
- 치료법: 보기건비(補氣健脾) – 비장을 보하고 기운을 돋우는 처방 사용.
3. 간기울결(肝氣鬱結)
- 원인: 감정의 억압, 스트레스 등으로 간의 기운이 막힘.
- 증상: 예민하고 잘 놀라며, 잠들기 힘들고 자주 깸.
- 치료법: 소간해울(疏肝解鬱) – 간의 기운을 풀고 정서를 안정시킴.
4. 담열내요(痰熱內擾)
- 원인: 담(痰)과 열이 뇌를 자극해 정신이 불안정함.
- 증상: 잠자리에서 갑자기 울며 떼쓰고, 가래가 많거나 변비 동반.
- 치료법: 거담청열(祛痰淸熱) – 담을 제거하고 열을 내리는 처방 사용.
5. 외감풍한(外感風寒)
- 원인: 외부로부터 찬 기운이나 풍(風)이 침입.
- 증상: 감기 초기 증상처럼 코막힘, 기침, 열감이 있고 잠을 잘 못 잠.
- 치료법: 해표산한(解表散寒) – 외부 사기를 제거함.
- 한방 치료 방법
1. 한약 처방체질과 원인에 따라 맞춤 한약을 처방합니다.
2. 침 치료 / 소아침
소아용 무통 작탁침을 이용하여 사봉혈, 이간,사간 등의 경혈을 자극하여 자율신경을 안정시킴.
3. 부항, 뜸
복부 따뜻하게 해주는 온뜸, 경혈부위 소아부항 사용하여 긴장감 완화 심신안정에 도움.
4. 생활 관리
- 일정한 수면 루틴
- 취침 전 소화 잘되는 음식 섭취
- 심리적 안정감 제공 (포옹, 마사지, 자장가 등)
감사합니다.